본문 바로가기
생활 꿀정보/일상

2024년 최저시급은 얼마? 9860원임! (2009년~2024년 최저시급 모두 알려줌★)

by 데이더블유 2021. 11. 21.

1

안녕하세요. 데이더블유입니다.^^

오늘은 최저시급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이 가장 궁금해할 2023년 최저시급은 과연 얼마일까요? 2024년 최저시급은 2023년도에 비해 2.5% 상승, 금액으로는 240원이 증가한 "9,860원"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2024년 최저임금으로 계산한 월급은 2,060,740원이 된답니다. 

최저시급은 대략 평균적으로 해마다 5~7%정도 인상이 이루어지고 있는데요! 최저시급을 인상하게 되면 실제로 근로자가 받는 보수가 오른다는 좋은 점이 있지만 물가 상승, 즉 인플레이션이 올 수 있다는 한계점도 있어 신중을 기해야 한답니다.  

지금부터 여러분들께 2009년 최저시급부터 2024년 최저시급까지, 최저시급의 변천사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연도별 최저임금액과 인상률을 확인하시고 최저시급의 변화를 한번 느껴보세요.

뿐만 아니라 근로자측과 사용자측(사업주)이 최초 제시한 최저시급 인상률과 최종 의결된 최저시급 인상률 차이도 표로 보여드릴테니 근로자측과 사용자측이 어느 정도 협의가 되어 최저임금이 결정 되었는지, 그 변화도 한번 확인해보세요.

그럼, 우리 함께 최저시급의 변천사와 근로자측과 사용자측이 제시한 최저임금 인상률 차이를 알아보러 갈까요? 다같이 Let's go!

 

1. 최저시급이란?

최저시급이란, 최저임금제를 의미합니다. 최저임금제는 국가가 노동자와 사용자간의 임금결정과정에 개입해 임금의 최저수준을 정하고, 해당 수준 이상의 임금을 사용자에게 지급하도록 법률로 강제함으로써 저임금 근로자를 보호하는 제도입니다. 

2. 최저시급 변천사

- 2009년도 최저시급 : 4,000원 (인상률: 6.1%, 인상액: 230원)

- 2010년도 최저시급 : 4,110원 (인상률: 2.75%, 인상액: 110원)

- 2011년도 최저시급 : 4,320원 (인상률: 5.1%, 인상액: 210원)

- 2012년도 최저시급 : 4,580원 (인상률: 6.0%, 인상액: 260원)

- 2013년도 최저시급 : 4,860원 (인상률: 6.1%, 인상액: 280원)

- 2014년도 최저시급 : 5,210원 (인상률: 7.2%, 인상액: 350원)

- 2015년도 최저시급 : 5,580원 (인상률: 7.1%, 인상액: 370원)

- 2016년도 최저시급 : 6,030원 (인상률: 8.1%, 인상액: 450원)

- 2017년도 최저시급 : 6,470원 (인상률: 7.3%, 인상액: 440원)

- 2018년도 최저시급 : 7,530원 (인상률: 16.4%, 인상액: 1,060원)

- 2019년도 최저시급 : 8,350원 (인상률: 10.9%, 인상액: 820원)

- 2020년도 최저시급 : 8,590원 (인상률: 2.87%, 인상액: 240원)

- 2021년도 최저시급 : 8,720원 (인상률: 1.5%, 인상액: 130원)

- 2022년도 최저시급 : 9,160원 (인상률: 5.05%, 인상액: 440원)

- 2023년도 최저시급 : 9,620원 (인상률: 5.02%, 인상액: 460원)

- 2024년도 최저시급 : 9,860원 (인상률: 2.5%, 인상액: 240원)

3. 근로자측과 사용자측(사업주)의 제시안 인상률 차이

근로자 측과 사용자 측에서 제시된 최저임금 요구수준의 차이와 최종 의결된 최저임금 수준의 차이는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출처: 최저임금위원회


자, 지금까지 최저시급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어떠셨나요? 최저시급에 대해 잘 알게 되었을까요? 여러분에게 유익한 정보가 되었기를 바랍니다. 끝으로 최저시급(최저임금)을 시행하는 이유를 말씀드리며 해당 포스팅을 마무리하도록 하곘습니다. 여러분, 최저시급(임금)제를 시행하는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요?

최저임금은 첫째, 임금격차를 완하시키고 소득분배 개선에 기여를 합니다. 그리고 둘째, 근로자에게 일정 이상 수준의 급여로 생계를 보장해주어서 근로자 생활을 안정시키죠. 마지막 셋째, 근로자의 사기를 끌어올려 노동생산성 향상을 이끈답니다. 이러한 큰 장점들 때문에 최저임금제가 시행되고 있는 것이랍니다. 

그럼, 우리는 다음 시간에 더욱 재밌고 알찬 정보로 만나요. 모두들 안녕! :) 

반응형

댓글